글로벌 칼럼 | 코로나19 대유행 시대, RPA가 주목받는 이유
우리는 지금 일종의 대규모 실험 상황을 겪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코로나19 위기가 지속되면서, 이제 가정은 필요한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분산 플랫폼이 됐다. © Getty Ima
www.itworld.co.kr
글로벌 칼럼 | 코로나19 대유행 시대, RPA가 주목받는 이유
James Kobielus | InfoWorld
현재 대규모 실험 상황.
코로나19 위기 >> 가정 =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면서 업무를 수행하는 분산 플랫폼
- 비즈니스 지속성과 생산성이 크게 저하
WHY? 많은 사람이 처음으로 재택근무. BUT 기업은 실무자의 역할과 툴, 프로세스를 조정하지 않았음. SO 우리는 경제가 멈추지 않도록 하는데 필요한 무엇이든 하는 대혼란 상황.
기업은 일상적인 프로세스를 이전처럼 빠르고 정확하며 효율적으로 관리하려 애쓰고 있으며, 로봇 자동화 프로세스(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 기술이 부상하고 있음. 하지만 RPA를 시티즌 프로그래머(Citizen Programmer: IT 지식이 거의 없는 비즈니스 사용자)의 트로이 목마로 여기는 시각 有. 구성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디지털 시스템과 상호작용할 때 사람들이 작업을 수행 방법을 모방하기 때문. RPA를 통해 지식 노동자는 외부 인터페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고, 기존 IT 시스템을 거의 변경하지 않아도 됨. 즉, 작업자는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약간만 조정해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 RPA는 '보편화된 자동화'를 추구하는 트랜드와 일치.
EX) IBM의 WDG 오토메이션 인수, 마이크로소프트의 소프토모티브(Softomotive) 인수 등 IT 업계의 RPA M&A 붐
==> 관리 워크플로우의 자동화를 개선해 재택근무 환경을 전반적으로 지원하는 수요가 생겼기 때문
직원들이 재택근무 표준 운영 절차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절차를 변경하는 방법까지 생각하고 재프로그래밍하기를 바란다'면 RPA는 대실패로 이어질 것. 따라서, 관리 프로세스에서 수동으로 작업을 처리하는 최종 사용자가 아니라 IT 담당자가 관리 프로세스를 원격으로 협업해 코딩하는 또 다른 채널을 제공하는게 나을 것이다. 즉, 재택근무를 하고 있을 전통적인 개발자에게 RPA 툴을 맡기면, 각 직원에 비즈니스 프로세스 중 자신이 관여한 영역을 자동화하라고 요구할 때의 혼돈을 피할 수 있음.
또 다른 용도 = 직원의 병가로 자가 격리나 기약 없는 출근 제한으로 인력 부족이 발생했을 때, 기업과 IT 모두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
RPA 구축 사례 = 비즈니스 지속성을 위한 것 = 직원이 아프거나 격리돼 있어도 비즈니스 지속성을 유지하는 필수 도구 역할
EX) 오토메이션 애니웨어(Automation Anywhere)의 솔루션은 고객 상담원이 어디서든 협업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지원. 건강 상태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접촉 추적 데이터 집계를 통해 비즈니스 지속성을 보장. 세계 보건기구(WHO), 중국에서 코로나19를 관리하는 직원의 질병 노출 위험도 평가, 마카오 시민에게 공공 서비스 대시보드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안내하는데 필요한 임상 사례 양식 수동 처리 자동화.
전망. 사람들이 사회적 거리 두기에 지쳐 오프라인 행사, 여행 등 ‘사회적 행위’가 다시 유행할 가능성이 있음. 평범했던 사무실 근무로 많은 직원이 돌아올 가능성도 있음.
현재 물리적인 만남 제한, 상호작용을 수반하는 일상적인 활동을 완료하기 어려움. 비즈니스 운영을 유지하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서비스를 원격으로 구축하고 관리해야 함. 따라서 기업은 RPA 및 기타 지능형 프로세스 자동화 솔루션을 계속 사용할 가능성이 큼. 코로나와 비슷한 위기로 인해 주요 작업 프로세스를 다시 수립해야 하는 경우라면 비즈니스 지속성을 지원하는 역할도 하게 될 것.
'IT & 시사 뉴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AI] 2020년 가장 해 볼만한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프로젝트 20선 (0) | 2020.08.11 |
---|---|
[스크랩/언택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제조업을 위한 해법, 지능형 자동화(Intelligence Automation) (0) | 2020.07.26 |
[스크랩/5G] 와이파이 6E와 6의 차이점과 5G와의 관계 (0) | 2020.07.23 |
[스크랩/IT트렌드] 국회서 ‘막차 통과’…10개 ICT 법안 주요 내용은 (0) | 2020.07.19 |
[7월 넷쨋주] IT 뉴스 읽은 것 (0) | 2020.07.19 |